코로나19 2가 백신 예방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2가 백신이란 2020년 처음 유행한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변종인 오미크론 바이러스 모두의 항원을 발현하여 둘 다 예방할 수 있는 백신입니다. 예방접종 사전예약 페이지에 BA.1, BA.4 그리고 BA.5로 표기된 백신이 바로 2가 백신인데요, 각각 어떤 백신을 뜻하고 차이점은 무엇인지, 외국은 백신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그리고 접종 주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4차 접종 대상인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모더나 BA.1 화이자 BA.1 과 화이자 BA.4/BA.5 차이점
2. 최신 백신의 효과 및 안정성
3. 백신 접종 해외 동향
4. 기저질환 대상 질환(4차 접종 대상)
5. 면역저하자(4차 접종 대상)
1. 모더나 BA.1 화이자 BA.1 과 화이자 BA.4/BA.5 차이점
2가 백신이란 기존 백신에서 확인된 중증 예방뿐만 아니라 최근 유행하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이 가능한 백신을 말합니다. BA.1, BA.4, BA.5는 모두 오미크론 하위변에 대한 표기입니다. 특히 BA.2, BA.4, BA.5는 면역 회피 등 특성 변화를 보이며, 국내에서 검출률이 50%에 육박하면서 우세종이 되었습니다. 제조사마다 어떤 변이종의 항원을 커버하는지에 따라 백신이 출시되었으며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2가 백신 | 제조사 | 항원 종류 | 예약 접종 | 당일 접종 |
모더나 BA.1 | 모더나 | 초기 바이러스 항원 + 오미크론 BA.1항원 | 11.7(월) ~ | 10.27.(목)~ |
화이자 BA.1 | 화이자 | 초기 바이러스 항원 + 오미크론 BA.1 항원 | 11.7(월) ~ |
|
화이자 BA.4/BA.5 | 화이자 | 초기 바이러스 항원 + 오미크론 BA.4/BA.5항원 | 11.14(월) ~ |
BA.1기반 백신들도 모두 오미크론 변이를 대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화이자 BA.4/BA.5 백신이 가장 최근 개발되어서 우세종을 직접 겨냥한 백신으로 가장 인기가 많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가이드라인에서는 접종 간격을 최종 접종일 또는 확진일 기준 4~6개월 이후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2. 최신 백신 효과 및 안정성
모더나 2가백신(BA.1기반 mRNA) 임상시험 결과 기존 백신 대비 초기주에는 1.22배, BA.1에는 1.75배 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결과를 보였고, BA.4/BA.5에는 1.69배 높은 효과를 보였습니다. 초기 바이러스 항원 뿐 만 아니라 오미크론 변이종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 백신과 이상반응 증상은 같지만, 기존 백신 대비 발생빈도가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안정성이 더 좋아진 백신입니다.
3. 백신 접종 해외동향
해외의 경우에도 BA.1 BA.4 BA.5기반 백신이 우세입니다. 미국과 영국, 일본, 호주 캐나다의 경우에 18세 이하의 경우 모더나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각국의 접종 백신 현황 아래의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국가 | 접종대상 | 접종백신 |
미국 | 18세 이상(모더나) | BA.4/BA.5 기반 2가 백신 |
12세 이상(화이자) | ||
EU | 12세 이상(모더나/화이자) | BA.1/BA.4/BA.5 기반 2가 백신 |
영국 | 18세 이상(모더나) | BA.1 기반 2가 백신 |
12세 이상(화이자) | ||
일본, 호주, 캐나다 | 18세 이상(모더나) | BA.1 기반 2가 백신 |
4. 기저질환자 대상질환(4차 접종 대상)
· 만성폐질환: 천식, 간질성폐질환, 폐색전증, 폐고혈압, 기관지확장증, 만성폐쇄성폐질환
· 심장질환: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신근병증, 허혈성심질환, 심장판막질환, 선천성심장병
· 만성간질환: 간경변, 비알콜성 지방간, 알콜성 간질환, 자가면역성 간염
· 만성신경계질환: 치매, 파킨슨병, 중증근무력증, 근육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성증후군, 간질
· 자가면역질환: 전신성홍반선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 뇌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암, 낭포성섬유증, 당뇨병, 인체 면역결핍 파이러스(HIV) 감염, 비만 (BMI>30kg/m^2), 활동성 결핵
5. 면역저하자 범위(4차 접종 대상)
· 종양 또는 혈액암으로 항암 치료를 받고있는 경우
· 장기이식 수술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경우
· 조혈모세포 이식 후 2년 이내인 환자 또는 이식 후 2년 이상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는 경우
· 일차(선천) 면역결핍증(항체결핍, DiGeorage syndrome, Wiskott-Aldrich syndrome 등)
·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이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백신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본인의 일정에 맞게 예약하셔서 동절기 잘 넘기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M2 아이패드프로 6세대 사전예약:https://link.coupang.com/a/FQKgm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댓글